- Kaggle - 타이타닉 생존자 예측하기 EDA / Feature Engineering (1)
- Kaggle - 타이타닉 생존자 예측하기 EDA / Feature Engineering (2)
EDA / Feataure Engineering (2)
5. Fare
Fare는 운임을 나타냅니다. 단위는 따로 표시되어있지 않은데, 아마 파운드로 생각이 됩니다. 트레이닝 데이터셋에는 Missing value가 없고 test 데이터셋에만 한 개의 missing value가 있습니다. 분포도를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2
import seaborn as sns
sns.distplot(train['Fare'])
한 개의 Missing Value는 중위값으로 채우도록 하겠습니다.
1
2
for dataset in full_data:
dataset['Fare'] = dataset['Fare'].fillna(train['Fare'].median())
6. Age
Age는 탑승자의 나이를 나타냅니다. 트레이닝 데이터셋에는 177개의 나이 데이터가 누락되어 있습니다. 이 빠진 데이터들을 다른 레퍼런스에서처럼 평균값이나 평균에서 표준편차 범위내의 난수 등으로 집어넣지않고, 이미 살펴본 Pclass와 나이의 관계를 먼저 살펴본 후 적절해보이는 방법으로 빠진 값을 채우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seaborn으로 티켓 클래스에 따라 나이가 어떤 통계값을 가지는지 boxplot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2
3
4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plt.figure(figsize=(12, 7))
sns.boxplot(x='Pclass',y='Age',data=train)
위 boxplot에서 티켓 클래스가 높을수록 평균 나이가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티켓 클래스별 평균 나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1
train[['Pclass','Age']].groupby(['Pclass']).mean()
Pclass Age
0 1 38.233441
1 2 29.877630
2 3 25.140620
빠진 나이 값은 티켓 클래스에 따라 평균을 집어넣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는 함수를 만들어 적용하도록 하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def impute_age(cols):
Age = cols[0]
Pclass = cols[1]
if pd.isnull(Age):
if Pclass == 1:
return 38
elif Pclass == 2:
return 30
else:
return 25
else:
return Age
1
2
for dataset in full_data:
dataset['Age'] = dataset[['Age','Pclass']].apply(impute_age,axis=1)
Age의 모든 빠진 값들을 티켓 클래스에 따른 나이의 평균으로 채웠습니다.
7. Name
Name 행에는 Mr, Miss와 같은 타이틀이 이름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Name에서 타이틀을 추출해내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정규표현식을 사용하는데요, 타이틀을 추출해내는 함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먼저 정규표현식 사용을 위한 re (Regular Expression) 모듈을 임포트합니다.
import re as re
# get_title`함수를 정의하고 name을 파라미터로 받습니다.
def get_title(name):
# re.search 모듈은 두번째 파라미터인 name에서
# 첫번째 파라미터인 ' ([A-Za-z]+)\.'를 찾아보고 리턴합니다. (MatchObject)
title_search = re.search(' ([A-Za-z]+)\.', name)
# 만약 title_search이 있으면 group(1)을 리턴합니다.
if title_search:
return title_search.group(1)
return ""
# ' ([A-Za-z]+)\.'은 "공백 + 1개 이상의 알파벳 + 마침표" 의 형태를 나타냅니다.
# [A-Za-z]는 A부터 z까지의 임의의 알파벳, 그 뒤의 '+'는 알파벳이 한개 이상 붙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 이들을 감싸고 있는 소괄호는 그룹화를 하기 위한 것입니다.
# 소괄호 앞의 공백은 진짜 공백을 의미하고, 괄호 뒤의 `\.`은 마침표`.`를 표현하기 위함이
위의 get_title
함수를 정의한 후 apply
메쏘드를 통해 데이터셋에 적용하여 Title이라는 새 열을 만듭니다.
1
2
3
4
for dataset in full_data:
dataset['Title'] = dataset['Name'].apply(get_title)
print(pd.crosstab(train['Title'], train['Sex']))
Sex female male
Title
Capt 0 1
Col 0 2
Countess 1 0
Don 0 1
Dr 1 6
Jonkheer 0 1
Lady 1 0
Major 0 2
Master 0 40
Miss 182 0
Mlle 2 0
Mme 1 0
Mr 0 517
Mrs 125 0
Ms 1 0
Rev 0 6
Sir 0 1
통일성을 위해 Mlle(Mademoiselle)과 Ms(Mistress) 는 Miss로, Mme(Madam)은 Mrs로 바꾸고, 기타 다른 타이틀들은 Rare라는 항목을 만들어서 하나로 모읍니다.
1
2
3
4
5
6
7
for dataset in full_data:
dataset['Title'] = dataset['Title'].replace(['Lady', 'Countess','Capt', 'Col', 'Don', 'Dr', 'Major', 'Rev', 'Sir', 'Jonkheer', 'Dona'], 'Rare')
dataset['Title'] = dataset['Title'].replace('Mlle', 'Miss')
dataset['Title'] = dataset['Title'].replace('Ms', 'Miss')
dataset['Title'] = dataset['Title'].replace('Mme', 'Mrs')
print(pd.crosstab(train['Title'], train['Sex']))
Sex female male
Title
Master 0 40
Miss 185 0
Mr 0 517
Mrs 126 0
Rare 3 20
이제 타이틀과 생존률과의 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
1
print (train[['Title', 'Survived']].groupby(['Title'], as_index=False).mean())
Title Survived
0 Master 0.575000
1 Miss 0.702703
2 Mr 0.156673
3 Mrs 0.793651
4 Rare 0.347826
8. 기타
객실 번호를 보여주는 Cabin
열은 객실이 있고 없고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사용해 볼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따로 이용하지 않겠습니다.